본문 바로가기

기술진단87

[UNIX] U-23 DoS 공격에 취약한 서비스 비활성화 U-23 DoS 공격에 취약한 서비스 비활성화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사용하지 않는 Dos 공격에 취약한 서비스의 실행 여부 점검▶ 점검목적 :  시스템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취약점이 많이 발표된 echo, discard, daytime, chargen, ntp, snmp 등 서비스를 중지함▶ 보안위협 · 해당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시스템 정보 유출 및 DoS(서비스 거부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음▶ 참고※ DoS(Denial of Service attack): 시스템을 악의적으로 공격해 해당 시스템의 자원을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 특정 서버에게 수많은 접속 시도를 만들어 다른 이용자가 정상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2025. 1. 10.
[UNIX] U-22 crond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 U-22 crond 파일 소유자 및 권한 설정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Cron 관련 파일의 권한 적절성 점검▶ 점검목적 :  관리자외 cron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보안위협 · root 외 일반사용자에게도 crontab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경우, 고의 또는 실수로 불법적인 예약 파일 실행으로 시스템 피해를 일으킬 수 있음▶ 참고※ Cron 시스템: 특정 작업을 정해진 시간에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데몬 및 설정 ※ cron.allow: 사용자 ID를 등록하면 등록된 사용자는 crontab 명령어 사용이 가능함 ※ cron.deny: 사용자 ID를 등록하면 등록된 사용자는 crontab 명령어 사용이 불가능함.. 2025. 1. 10.
[UNIX] U-21 r 계열 서비스 비활성화 U-21 r 계열 서비스 비활성화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r-command 서비스 비활성화 여부 점검▶ 점검목적 :  r-command 사용을 통한 원격 접속은 NET Backup 또는 클러스터링 등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나, 인증 없이 관리자 원격접속이 가능하여 이에 대한 보안위협을 방지하고자 함▶ 보안위협 · rsh, rlogin, rexec 등의 r command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인증절차 없이 터미널 접속, 쉘 명령어를 실행이 가능함▶ 참고※ r-command: 인증 없이 관리자의 원격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들로 rsh(remsh), rlogin, rexec, rsync 등이 있음 2. 점검대상 및 판단 기준▶  대상 :  SOLARIS, Linux, AIX, HP-U.. 2024. 12. 23.
[UNIX] U-20 Anonymous FTP 비활성화 U-20 Anonymous FTP 비활성화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익명 FTP 접속 허용 여부 점검▶ 점검목적 :  실행중인 FTP 서비스에 익명 FTP 접속이 허용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접속허용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보안위협 · Anonymous FTP(익명 FTP)를 사용 시 anonymous 계정으로 로그인 후 디렉터리에 쓰기 권한이 설정되어 있다면 악의적인 사용자가 local exploit을 사용하여 시스템에 대한 공격을 가능하게 함▶ 참고※ Anonymous FTP(익명 FTP): 파일 전송을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상대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계정이 필요하나 누구든지 계정 없이도 anonymous 또는 ftp라는 로그인 명과 임의의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FTP를 .. 2024. 12. 23.
윈도우 서버 W-72 Dos 공격 방어 레지스트리 설정 윈도우 서버 W-72 Dos 공격 방어 레지스트리 설정항목중요도 : 중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DoS 공격 방어 레지스트리 설정 여부 점검▶ 점검목적 : TCP/IP 스택(Stack)을 강화하는 레지스트리 값 변경을 통하여 DoS 공격을 방어하기 위함▶ 보안위협 · DoS 방어 레지스트리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 DoS 공격에 의한 시스템 다운으로 서비스 제공이 중단될 수 있음▶ 참고※ DoS(서비스 거부 공격): 네트워크 사용자가 컴퓨터나 컴퓨터의 특정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도록 만들기 위한 네트워크 공격2. 점검대상 및 판단 기준▶  대상 :  Windows NT, 2000, 2003, 2008, 2012, 2016, 2019▶  판단기준 · 양호 : DoS 방어 레지스트리 값이 아래와 같이 설.. 2024. 8. 29.
윈도우 서버 W-45 디스크볼륨 암호화 설정 윈도우 서버 W-45 디스크볼륨 암호화 설정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디스크볼륨 암호화 설정 여부 점검▶ 점검목적 :  디스크볼륨 암호화 설정을 적용하여 비인가 액세스로부터 중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함▶ 보안위협 · 디스크 볼륨이 암호화 되어 있지 않은 경우 비인가자가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음▶ 참고- 2. 점검대상 및 판단 기준▶  대상 :  Windows NT, 2000, 2003, 2008, 2012, 2016, 2019▶  판단기준 · 양호 : "데이터 보호를 위해 내용을 암호화" 정책이 선택된 경우 · 취약 : “데이터 보호를 위해 내용을 암호화" 정책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조치방법 : EFS(Encrypting File System) 활성화3. 윈도우서버 초기 .. 2024.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