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약점 진단153

[PC] PC-04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PC-04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나 디폴트로 설치되어 실행되고 있는 서비스가 있는지 점검▶ 점검목적 :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나 디폴트로 설치된 서비스들을 제거하여 시스템 자원의 낭비를 막고 해당 서비스 포트를 통한 침입을 방지▶ 보안위협 ·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들이 실행되어 시스템에 과부하가 발생함 · 불필요한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알지도 못한 서비스들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 이 경우 해당 서비스가 이미 취약한 버전의 서비스인지도 인지하지 못하고 사용함▶ 참고※  불필요한 서비스가 시스템에 디폴트로 설치되어 실행되는 경우 시스템 자원을 낭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 서비스를 통해 악의적인 공격자가 침입할 수 있으므로 .. 2024. 9. 17.
[PC] PC-03 공유폴더 제거 PC-03 공유폴더 제거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기본 공유 폴더(C$, D$, Admin$), 미사용 공유폴더가 존재하는지 점검하고 공유 폴더를 사용하는 경우 공유 폴더 접근 권한에 “Everyone“이 존재하거나 접근을 위한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지 점검▶ 점검목적 :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공유 폴더를 해제하거나 불가피하게 사용하고 있는 공유폴더의 경우 암호를 설정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분별한 접근을 제한함▶ 보안위협 · 시스템 기본 공유 폴더의 경우 기본 드라이브를 개방해놓고 사용하는 것과 동일함(예 : 실행창 -> \\192.168.16.xxx\C$ 으로 C드라이브 접근 가능)  · 접근권한이 Everyone으로 설정된 공유 폴더는 .. 2024. 9. 17.
[PC] PC-02 패스워드 정책이 해당 기관의 보안 정책에 적합하게 설정 PC-02 패스워드 정책이 해당 기관의 보안 정책에 적합하게 설정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패스워드 설정 정책이 복잡성을 만족하는지 점검▶ 점검목적 : 안전한 패스워드(*패스워드 설정 기준 참조)를 사용함으로써 무작위 대입 공격, 사전공격 등 패스워드 탈취 목적의 공격에 대한 대비를 목적으로 함▶ 보안위협 · 무작위 대입 공격, 패스워드 추측 공격 등 패스워드가 비교적 단순하거나 비교적 자주 쓰이는 패스워드(예:1q2w3e4r! 등)로 비인가 접근을 시도하는 공격들이 존재함▶ 참고※ 무작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 컴퓨터로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키를 하나하나 추론해 보는 시도 ※ 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 사전에 있는 단어를 입.. 2024. 9. 17.
[PC] PC-01 패스워드의 주기적 변경 PC-01 패스워드의 주기적 변경항목중요도 : 상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최대 암호 사용 기간이 “90일”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지 점검 ▶ 점검목적 : 패스워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암호 크래킹의 가능성을 낮추고, 불법으로 획득한 암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자 함 ▶ 보안위협 · 동일한 패스워드를 변경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경우 유출이나 무차별 대입공격에 당할 가능성이 높고 이전에 사용하던 패스워드를 재사용한다면 비밀번호 추측 공격에 의해 계정을 탈취당할 우려가 있음▶ 참고-2. 점검대상 및 판단 기준▶  대상 :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8.1, Windows 10▶  판단기준 · 양호 : 최대 암호 사용 기간이 “90일”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 취약 :.. 2024. 9. 17.
윈도우 서버 W-82 Windows 인증 모드 사용 윈도우 서버 W-82 Windows 인증 모드 사용항목중요도 : 중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DB 로그인 시 Windows 인증 모드 적절성 점검▶ 점검목적 : 적절한 Windows 인증 모드를 적용하여 적합한 복잡성 수준을 유지하기 위함 ▶ 보안위협 · 혼합 인증모드를 사용하고 sa 계정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잘 알려진 sa 계정에 대한 계정 추측 공격의 우려 존재▶ 참고※ 데이터베이스 엔진 인증 모드에는 Windows 인증 모드와 SQL Sever가 있는 혼합 모드 두 가지 구성이 있음. Windows 인증 모드 선택 시 SQL Sever 인증을 위해서 설치 프로그램은 sa라는 비활성화 된 계정을 생성하고, 이 계정은 혼합 모드를 사용함으로써활성화 됨. sa 계정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잘 알.. 2024. 8. 29.
윈도우 서버 W-81 시작 프로그램 목록 분석 윈도우 서버 W-81 시작 프로그램 목록 분석항목중요도 : 중1. 취약점 개요▶ 점검내용 : 시작프로그램 목록 내 불필요한 항목 존재 여부 점검▶ 점검목적 : 불필요한 시작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비활성화 하여 악의적인 공격을 차단하기 위함 ▶ 보안위협 · 윈도우 부팅 시 너무 많은 시작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되면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공격자가 심어놓은 악성 프로그램이나 해킹 툴이 실행되어 시스템에 피해를 줄 수 있음▶ 참고-2. 점검대상 및 판단 기준▶  대상 : Windows 2000, 2003, 2008, 2012, 2016, 2019▶  판단기준 · 양호 : 시작프로그램 목록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불필요한 서비스 체크해제를 한 경우 · 취약 : 시작프로그램 목록을 정기적으로 검사하지 않고.. 2024. 8. 29.